학사안내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0/1학기 균형 1210139
건축인문여행 (Road to Architecture in humanities)
  • 학년/학기 : 0/1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10139
  • 교과목명 : 건축인문여행 (Road to Architecture in humaniti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사람들의 삶의 근간을 이루는 건축에서 다루어지는 미술, 음악, 문학을 포함하는 예술과 기술의 영역에 관계하며 만들어온 삶의 환경에 대해 종합적으로 학습한다. 종합적 예술영역과 건축과의 관계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The cours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hensive field of art and architecture. Learn about the living environment that has been created in the field of art and technology, including art, music, and literature, which are covered in architectur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사람들의 삶의 근간을 이루는 건축에서 다루어지는 미술, 음악, 문학을 포함하는 예술과 기술의 영역에 관계하며 만들어온 삶의 환경에 대해 종합적으로 학습한다. 종합적 예술영역과 건축과의 관계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The cours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hensive field of art and architecture. Learn about the living environment that has been created in the field of art and technology, including art, music, and literature, which are covered in architecture.

닫기
0/2학기 균형 1230092
건축인문체험 (Architecture Humanities Experience)
  • 학년/학기 : 0/2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30092
  • 교과목명 : 건축인문체험 (Architecture Humanities Exper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학과 건축공학의 융합개념 수업이 이루어지며, 교양수준의 내용을 학습한다. 예술과 기술에 근거한 건축에 대해 학습하고, 실습과정을 통해 아이디어를 테스트한다. 이를 통해 구조미에 기반한 건축아이디어의 창출능력과 모형 제작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is taught by combining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learn about architecture based on art and technology, and develop ideas through practical training. Through this, they develop architectural ideas and model making skil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학과 건축공학의 융합개념 수업이 이루어지며, 교양수준의 내용을 학습한다. 예술과 기술에 근거한 건축에 대해 학습하고, 실습과정을 통해 아이디어를 테스트한다. 이를 통해 구조미에 기반한 건축아이디어의 창출능력과 모형 제작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is taught by combining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learn about architecture based on art and technology, and develop ideas through practical training. Through this, they develop architectural ideas and model making skills.

닫기
1/1학기 전선 3140004
건설융합설계1 (Basic Construction Studio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0004
  • 교과목명 : 건설융합설계1 (Basic Construction Studio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설융합학부의 입문과정 교과목으로 건축학전공 및 토목공학전공에서 함께 운영하는 교과목이다. 건축학전공의 건축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기초 표현 및 설계를 실시하며, 토목에서는 건설분야의 기초과정을 학습한다. 2학년 전공선택을 위한 선행학습과정으로 운영된다.

    • English

      This is an introductory course of the Division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and it is operated together by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th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Basic expressions and designs are conducted to foster architectural thinking in architecture majors, and basic processes of the construction field are learned in civil engineering. It is operated as a prior learning course for second year department selection.

    닫기
3 1 0 (4) 상세보기
  • 국문

    건설융합학부의 입문과정 교과목으로 건축학전공 및 토목공학전공에서 함께 운영하는 교과목이다. 건축학전공의 건축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기초 표현 및 설계를 실시하며, 토목에서는 건설분야의 기초과정을 학습한다. 2학년 전공선택을 위한 선행학습과정으로 운영된다.

  • English

    This is an introductory course of the Division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and it is operated together by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th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Basic expressions and designs are conducted to foster architectural thinking in architecture majors, and basic processes of the construction field are learned in civil engineering. It is operated as a prior learning course for second year department selection.

닫기
1/1학기 전선 3140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0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을 통해 학업을 위한 기초지식의 배양방법부터 교우관계, 동아리 활동 등 학교생활을 위한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 상담하며, 관련 분야의 취업에 대한 부분까지 폭넓게 논의하여 학위과정과 향후 취업시까지 필요한 기본적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English

      This class provides counseling with professors on general areas such as academic calendar, planning, basic knowledge cultivation, fellowship, and club activities for college students, and discusses the degree of employment in related fields. The aim is to improve the basic skills required until employment.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을 통해 학업을 위한 기초지식의 배양방법부터 교우관계, 동아리 활동 등 학교생활을 위한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 상담하며, 관련 분야의 취업에 대한 부분까지 폭넓게 논의하여 학위과정과 향후 취업시까지 필요한 기본적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English

    This class provides counseling with professors on general areas such as academic calendar, planning, basic knowledge cultivation, fellowship, and club activities for college students, and discusses the degree of employment in related fields. The aim is to improve the basic skills required until employment.

닫기
1/2학기 학문 1410084
건설융합기초설계 (Basic Construction Studio)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학문
  • 교과목번호 : 1410084
  • 교과목명 : 건설융합기초설계 (Basic Construction Studio)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설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건설융합학부에서 다루고 있는 필수과목에 대한 대략적인 개요를 설명함으로써 학부로 입학한 학생들에게 전공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함

    • English

      This course is to introduce a general understanding of construction as well as present and future of Department of Construction Convergence . This course will help the students to decide the their major in convergence depart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설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건설융합학부에서 다루고 있는 필수과목에 대한 대략적인 개요를 설명함으로써 학부로 입학한 학생들에게 전공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함

  • English

    This course is to introduce a general understanding of construction as well as present and future of Department of Construction Convergence . This course will help the students to decide the their major in convergence department.

닫기
1/2학기 전선 3140005
건설융합설계2 (Basic Construction Studio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0005
  • 교과목명 : 건설융합설계2 (Basic Construction Studio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4-2-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을 시작하는 학생들을 위한 전공 실기 수업으로서, 건축의 기본 개념과 소통을 위한 표현방식, 건축 형태와 공간 형성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2차원 및 3차원 디자인 조형 원리와 구성 방법의 기초 대해 실습한다. 핸드 드로잉 스케치, 공예 기법을 통한 모형 제작, 설치 작업 등으로 이어지는 연속적 과제를 통해 조형 원리, 모델링, 공간 스케일에 관한 지식을 체험적으로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English

      This is a practical class for students who are beginning to study architecture. In this class, students practice the basic concepts of architecture, expression methods for communication, and the basics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2D and 3D design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asics of the forms of buildings and space formation. This class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erientially acquire knowledge about the formative principles, modeling, and spatial scales through successive tasks beginning from hand-drawing sketches followed by model making through craft techniques and installation work.

    닫기
4 2 0 (6) 상세보기
  • 국문

    건축을 시작하는 학생들을 위한 전공 실기 수업으로서, 건축의 기본 개념과 소통을 위한 표현방식, 건축 형태와 공간 형성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2차원 및 3차원 디자인 조형 원리와 구성 방법의 기초 대해 실습한다. 핸드 드로잉 스케치, 공예 기법을 통한 모형 제작, 설치 작업 등으로 이어지는 연속적 과제를 통해 조형 원리, 모델링, 공간 스케일에 관한 지식을 체험적으로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English

    This is a practical class for students who are beginning to study architecture. In this class, students practice the basic concepts of architecture, expression methods for communication, and the basics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2D and 3D design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asics of the forms of buildings and space formation. This class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erientially acquire knowledge about the formative principles, modeling, and spatial scales through successive tasks beginning from hand-drawing sketches followed by model making through craft techniques and installation work.

닫기
2/1학기 전선 3140003
건설CAD (Construction Computer Aided Design )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0003
  • 교과목명 : 건설CAD (Construction Computer Aided Design )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건설융합학부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컴퓨터를 활용한 도면 작성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단계 수업이다. 본 교과목 수강을 통해 건축 및 토목공학 분야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및 설계의 가시화, 도면 작성 및 3D 디지털화 능력 등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basic level class to improve compurter aided drawing skills for students enrolled in division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In this course, students can develop design and design visualization, drawing creation and 3D digitization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건설융합학부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컴퓨터를 활용한 도면 작성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단계 수업이다. 본 교과목 수강을 통해 건축 및 토목공학 분야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및 설계의 가시화, 도면 작성 및 3D 디지털화 능력 등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basic level class to improve compurter aided drawing skills for students enrolled in division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In this course, students can develop design and design visualization, drawing creation and 3D digitization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닫기
2/1학기 전필 3145001
건축설계스튜디오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01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2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본격적으로 건축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설계 입문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고 과정을 학습한다. 설계주제는 주거설계와 소규모 사무소 설계를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 and 2 and is a course to learn architectural design in earnest. Based on what was learned in the introductory design course, students design actual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s and learn the process. The design theme are residence designs and small office designs.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2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본격적으로 건축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설계 입문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고 과정을 학습한다. 설계주제는 주거설계와 소규모 사무소 설계를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 and 2 and is a course to learn architectural design in earnest. Based on what was learned in the introductory design course, students design actual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s and learn the process. The design theme are residence designs and small office designs.

닫기
2/1학기 전선 3145003
건축표현1 (Design in Architecture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03
  • 교과목명 : 건축표현1 (Design in Architecture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분야에 대한 컴퓨터 응용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본 강의는 컴퓨터를 활용한 건축 디자인능력을 향상시키며 건축실무에서의 도면작성과 운영체계를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교과목은 기초단계 교과목으로 이론학습과 함께 실습 위주의 수업이 진행된다. 본 교과목은 CAD수업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In order to cultivate computer application practical skills for the field of architecture, this lecture focuses on improving architectural design skills using computers and understanding and applying drawings and operating systems in architectural practice. This subject is a basic level subject in which practice-oriented classes are conducted along with theory learning. This subject is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AD clas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분야에 대한 컴퓨터 응용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본 강의는 컴퓨터를 활용한 건축 디자인능력을 향상시키며 건축실무에서의 도면작성과 운영체계를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교과목은 기초단계 교과목으로 이론학습과 함께 실습 위주의 수업이 진행된다. 본 교과목은 CAD수업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In order to cultivate computer application practical skills for the field of architecture, this lecture focuses on improving architectural design skills using computers and understanding and applying drawings and operating systems in architectural practice. This subject is a basic level subject in which practice-oriented classes are conducted along with theory learning. This subject is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AD class.

닫기
2/1학기 전필 3145004
구조역학 (Structural Mechanic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04
  • 교과목명 : 구조역학 (Structural Mechan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구조역학 과목에서는 힘의 평형조건, 재료의 특성, 구조물에 작용하는 응력과 변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Structural Mechanics" are equilibrium condition of forces, material property, stress and strain acted on structures, and so 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구조역학 과목에서는 힘의 평형조건, 재료의 특성, 구조물에 작용하는 응력과 변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Structural Mechanics" are equilibrium condition of forces, material property, stress and strain acted on structures, and so on.

닫기
2/1학기 전필 3145005
건축환경계획 (Built Environment)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05
  • 교과목명 : 건축환경계획 (Built Environ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건축과 인간의 관계,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건축환경의 관계와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건축 열환경, 공기환경, 음환경 기초이론과 요소들을 파악하고 거주자의 쾌적에 대해 고찰한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architectural planning and various conditions of built environment for comfort. The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comfort and theory of thermal dynamics, indoor air quality, and acoustic in the building. Students have ability to plan and design sustainable build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건축과 인간의 관계,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건축환경의 관계와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건축 열환경, 공기환경, 음환경 기초이론과 요소들을 파악하고 거주자의 쾌적에 대해 고찰한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architectural planning and various conditions of built environment for comfort. The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comfort and theory of thermal dynamics, indoor air quality, and acoustic in the building. Students have ability to plan and design sustainable buildings.

닫기
2/1학기 전선 3145066
건축구법과디자인 (Building Structure Desig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66
  • 교과목명 : 건축구법과디자인 (Building Structur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물에 표현되는 공간, 구조, 기능, 미 등의 구현을 재료, 소재, 부재, 부위 별로 알아본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건축물을 세우기 위한 다양한 골조구조방식을 역사적 관점, 용도별 관점 등 다양한 관점을 통해서 이해한다.

    • English

      This class introduces the realization of space, structure, function, beauty, etc. expressed in buildings by materials, materials, members, and parts. At the same time, it aims to understand various framework structures for constructing rational and economical structures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historical perspective and usage perspective.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물에 표현되는 공간, 구조, 기능, 미 등의 구현을 재료, 소재, 부재, 부위 별로 알아본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건축물을 세우기 위한 다양한 골조구조방식을 역사적 관점, 용도별 관점 등 다양한 관점을 통해서 이해한다.

  • English

    This class introduces the realization of space, structure, function, beauty, etc. expressed in buildings by materials, materials, members, and parts. At the same time, it aims to understand various framework structures for constructing rational and economical structures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historical perspective and usage perspective.

닫기
2/1학기 전필 3145073
인간행태와건축계획 (Architectural Planning & Human Behavior)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73
  • 교과목명 : 인간행태와건축계획 (Architectural Planning & Human Behavior)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정은 학생들에게 기초 지식뿐만 아니라 건축계획, 프로그래밍 및 디자인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각 건축유형에 고유한 필수 기능과 특성을 개념화하고 기능 데이터와 미적 원리를 다루는 이론적 프레임 워크를 탐구하여 사람, 프로그램 및 건축 환경을 연계합니다. 또한 우리의 관점을 물리적 환경에서 공간 및 경험적 특성으로 확장함으로써 학생들은 장소 내의 인간 행동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프로그래밍 방법을 학습하게 됩니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on architectural planning, programming and design, as well as foundational knowledge. By expanding our perspective to spatial and experiential, students will learn a variety of methods that focus on human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in space.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정은 학생들에게 기초 지식뿐만 아니라 건축계획, 프로그래밍 및 디자인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각 건축유형에 고유한 필수 기능과 특성을 개념화하고 기능 데이터와 미적 원리를 다루는 이론적 프레임 워크를 탐구하여 사람, 프로그램 및 건축 환경을 연계합니다. 또한 우리의 관점을 물리적 환경에서 공간 및 경험적 특성으로 확장함으로써 학생들은 장소 내의 인간 행동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프로그래밍 방법을 학습하게 됩니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on architectural planning, programming and design, as well as foundational knowledge. By expanding our perspective to spatial and experiential, students will learn a variety of methods that focus on human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in space.

닫기
2/1학기 전선 3145078
디지털공간디자인 (Digital Space Desig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78
  • 교과목명 : 디지털공간디자인 (Digital Spac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건축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공간 디자인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표현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Based on the theory of space design,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art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stage, this course learns the basic knowledge to apply spatial design expression techniques using digital too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건축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공간 디자인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표현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Based on the theory of space design,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art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stage, this course learns the basic knowledge to apply spatial design expression techniques using digital tools.

닫기
2/2학기 전필 3145007
건축설계스튜디오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07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 2 건축설계스튜디오 1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본격적으로 건축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설계 입문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고 과정을 학습한다. 설계주제는 근린생활시설,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 2 an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nd is a course to learn architectural design in earnest. Based on what was learned in the introductory design course, students design actual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s and learn the process. The design theme targets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 2 건축설계스튜디오 1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본격적으로 건축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설계 입문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고 과정을 학습한다. 설계주제는 근린생활시설,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 2 an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nd is a course to learn architectural design in earnest. Based on what was learned in the introductory design course, students design actual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s and learn the process. The design theme targets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닫기
2/2학기 전필 3145009
기초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09
  • 교과목명 : 기초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은 건축가와 엔지니어가 설계작업 초기에 건물을 정확하게 시각화,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설계를 보다 쉽게 도출 할 수 교육과정이다. 기존 2 drawing 3 drawing에서 설계작업을 진행했다면 이제는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고 설계작업을 진행하는 학습과정이다. 학생들은 1시간이론과 2시간 실습을 통하여 건축설계에 과정에 대한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활용을 습득하게 된다. 기초 BIM과 고급 BIM은 순차적으로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Englis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a curriculum that enables architects and engineers to accurately visualize, simulate, and analyze buildings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 work so that they can more easily derive sustainable designs. Whereas design work was carried out in the existing 2 drawing 3 drawing, this is a learning process to understand and analyze buildings more concretely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efore carrying out design work. Through one hour for theory and two hours for practice, students will learn the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ents should complete Basic BIM and Advanced BIM in sequence in principle.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은 건축가와 엔지니어가 설계작업 초기에 건물을 정확하게 시각화,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설계를 보다 쉽게 도출 할 수 교육과정이다. 기존 2 drawing 3 drawing에서 설계작업을 진행했다면 이제는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고 설계작업을 진행하는 학습과정이다. 학생들은 1시간이론과 2시간 실습을 통하여 건축설계에 과정에 대한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활용을 습득하게 된다. 기초 BIM과 고급 BIM은 순차적으로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Englis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a curriculum that enables architects and engineers to accurately visualize, simulate, and analyze buildings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 work so that they can more easily derive sustainable designs. Whereas design work was carried out in the existing 2 drawing 3 drawing, this is a learning process to understand and analyze buildings more concretely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efore carrying out design work. Through one hour for theory and two hours for practice, students will learn the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ents should complete Basic BIM and Advanced BIM in sequence in principle.

닫기
2/2학기 전선 3145010
건축표현2 (Design in Architecture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10
  • 교과목명 : 건축표현2 (Design in Architecture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분야에 대한 컴퓨터 응용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본 강의는 컴퓨터를 활용한 건축 디자인능력을 향상시키며 건축실무에서의 도면작성과 운영체계를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교과목은 고급단계 교과목으로 이론학습과 함께 실습 위주의 수업이 진행된다. 본 수업은 CAD, 디지털건축표현 1을 선이수 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In order to cultivate computer application practical skills for the field of architecture, this lecture focuses on improving architectural design skills using computers and understanding and applying drawings and operating systems in architectural practice. This subject is an advanced level subject in which practice-oriented classes are conducted along with theory learning and practice-oriented classes are conducted. This subject is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AD, and Digital Design in Architecture1 firs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분야에 대한 컴퓨터 응용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본 강의는 컴퓨터를 활용한 건축 디자인능력을 향상시키며 건축실무에서의 도면작성과 운영체계를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교과목은 고급단계 교과목으로 이론학습과 함께 실습 위주의 수업이 진행된다. 본 수업은 CAD, 디지털건축표현 1을 선이수 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In order to cultivate computer application practical skills for the field of architecture, this lecture focuses on improving architectural design skills using computers and understanding and applying drawings and operating systems in architectural practice. This subject is an advanced level subject in which practice-oriented classes are conducted along with theory learning and practice-oriented classes are conducted. This subject is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AD, and Digital Design in Architecture1 first.

닫기
2/2학기 전필 3145012
건축재료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12
  • 교과목명 : 건축재료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물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성능과 사용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주변 환경에 따라 건축물이 요구하는 성능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알맞은 성능의 재료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건축시공의 바탕이 되는 건축재료 전반에 관하여 알아보고, 중요 건설재료, 친환경건설재료, 첨단건설재료, 순환건설재료 등에 관한 핵심 내용을 습득함. 이를 바탕으로 각 건설재료에 요구되는 성능과 물성을 이론 수업을 통하여 강의함으로서 재료/시공 전공분야에서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In order to use the building safely and comfortably, it can be realized by clearly grasping th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building and using materials of suitable performance in the right place based on this. In this class, students will learn about building materials in general and acquire key contents on important construction materials,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advanced construction materials, and circular construction materials.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acquire basic knowledge in the field of materials / construction majors through lectures on the performance and properties required for each construction material through the theory clas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물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성능과 사용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주변 환경에 따라 건축물이 요구하는 성능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알맞은 성능의 재료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건축시공의 바탕이 되는 건축재료 전반에 관하여 알아보고, 중요 건설재료, 친환경건설재료, 첨단건설재료, 순환건설재료 등에 관한 핵심 내용을 습득함. 이를 바탕으로 각 건설재료에 요구되는 성능과 물성을 이론 수업을 통하여 강의함으로서 재료/시공 전공분야에서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In order to use the building safely and comfortably, it can be realized by clearly grasping th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building and using materials of suitable performance in the right place based on this. In this class, students will learn about building materials in general and acquire key contents on important construction materials,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advanced construction materials, and circular construction materials.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acquire basic knowledge in the field of materials / construction majors through lectures on the performance and properties required for each construction material through the theory class.

닫기
2/2학기 전선 3145013
친환경건축 (Sustainable Architecture)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13
  • 교과목명 : 친환경건축 (Sustainable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지속가능한 건물을 디자인하고 이해하기 위해, 전통건축의 친환경 요소, 건물 환경디자인 요소를 통한 건축환경 분석과 친환경 기법을 학습한다. 건물 외피의 단열성능을 깊이 있게 분석하여 친환경 디자인을 활용 및 응용할 수 있는 방안과 빛환경, 태양에너지와 건물의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환경 디자인을 고려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sustainable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studying green technologies and system. This course brings sustainable design ability by investigation of case studies such as vernacular architecture.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rmal performance of a building envelope, daylighting and solar energy and covers environmental desig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지속가능한 건물을 디자인하고 이해하기 위해, 전통건축의 친환경 요소, 건물 환경디자인 요소를 통한 건축환경 분석과 친환경 기법을 학습한다. 건물 외피의 단열성능을 깊이 있게 분석하여 친환경 디자인을 활용 및 응용할 수 있는 방안과 빛환경, 태양에너지와 건물의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환경 디자인을 고려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sustainable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studying green technologies and system. This course brings sustainable design ability by investigation of case studies such as vernacular architecture.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rmal performance of a building envelope, daylighting and solar energy and covers environmental design.

닫기
2/2학기 전선 3145014
기초공학설계1 (Basic Architectural Design 1)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14
  • 교과목명 : 기초공학설계1 (Basic Architectural Design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간의 경험과 표현, 일상생활의 추상화, 구법과 재료의 이해, 건축적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을 이해한다. 건축스케치, 건축도면의 작성과 표시방법, 건축기본 설계도면 등에 대해 배움으로서 기본적으로 건축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고 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운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space. materials, and style of architectural communication.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skill of sketch, basic drawing, and fundamentals. This class deals with the method of expression of the space and practice to communicate to people.

    닫기
3 1 4 상세보기
  • 국문

    공간의 경험과 표현, 일상생활의 추상화, 구법과 재료의 이해, 건축적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을 이해한다. 건축스케치, 건축도면의 작성과 표시방법, 건축기본 설계도면 등에 대해 배움으로서 기본적으로 건축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고 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운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space. materials, and style of architectural communication.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skill of sketch, basic drawing, and fundamentals. This class deals with the method of expression of the space and practice to communicate to people.

닫기
2/2학기 전필 3145054
한국건축사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54
  • 교과목명 : 한국건축사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고대부터 근세에 이르는 한국 전통건축의 시대적 흐름을 역사적인 시각을 통해 조명하고, 한국 전통건축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한다. 한국이라는 지역적 풍토성에 따라 물리적 환경과 삶의 행태가 맺어온 상호관계를 이해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불교건축, 도성 및 읍성, 궁궐, 주거 및 마을, 서원 및 향교, 기타 건축을 이해한다. 종합적으로 한국 전통건축이 가지는 공간적 특성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sheds light on the flow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from historical perspectives and identifi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atterns of life according to the regional climate of Korea. They will also understand Buddhist architecture, city or town fortresses, palaces, residences and villages, Seowon and Hyanggyo, and othe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Overall, it allows students to acqui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고대부터 근세에 이르는 한국 전통건축의 시대적 흐름을 역사적인 시각을 통해 조명하고, 한국 전통건축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한다. 한국이라는 지역적 풍토성에 따라 물리적 환경과 삶의 행태가 맺어온 상호관계를 이해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불교건축, 도성 및 읍성, 궁궐, 주거 및 마을, 서원 및 향교, 기타 건축을 이해한다. 종합적으로 한국 전통건축이 가지는 공간적 특성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sheds light on the flow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from historical perspectives and identifi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atterns of life according to the regional climate of Korea. They will also understand Buddhist architecture, city or town fortresses, palaces, residences and villages, Seowon and Hyanggyo, and othe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Overall, it allows students to acqui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닫기
2/2학기 전선 3145059
디지털통합설계 (Digital Integrated Design)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59
  • 교과목명 : 디지털통합설계 (Digital Integrated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건축계획 및 설계 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통합설계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에 대해 학습한다.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디지털 설계 및 건설 전반에 활용되는 방법을 익히고, 가상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고 데이터를 통합관리함으로써 디지털통합설계 적용 활용성 및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learns basic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digital integrated design based on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theory.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learn how to use digital tools in overall digital design and construction, apply digital technology through virtual project execution, and consolidate data to strengthen the utility and competency of digital integrated design application.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건축계획 및 설계 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통합설계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에 대해 학습한다.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디지털 설계 및 건설 전반에 활용되는 방법을 익히고, 가상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고 데이터를 통합관리함으로써 디지털통합설계 적용 활용성 및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learns basic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digital integrated design based on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theory.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learn how to use digital tools in overall digital design and construction, apply digital technology through virtual project execution, and consolidate data to strengthen the utility and competency of digital integrated design application.

닫기
2/2학기 전필 3145063
재료역학과전산응용 (Materials Mechanics and Computational Application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63
  • 교과목명 : 재료역학과전산응용 (Materials Mechanics and Computational Application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일반적인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서 건축구조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재료역학의 기본개념과 건축재료의 역학적인 특성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uses gener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learns the basic concepts of material mechanic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uilding materia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일반적인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서 건축구조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재료역학의 기본개념과 건축재료의 역학적인 특성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uses gener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learns the basic concepts of material mechanic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uilding materials.

닫기
3/1학기 전필 3145015
건축설계스튜디오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15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 2 건축설계스튜디오 1, 2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본격적으로 건축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설계 입문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고 과정을 학습한다. 특히 건축공간의 공공성을 바탕으로 하는 공동주택과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 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nd 2, and is a course to learn architectural design in earnest. Based on what was learned in the introductory design course, students design actual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s and learn the process. In particular, this lecture is about apartment buildings and school facilities, which are based on the publicness of architectural spaces.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 2 건축설계스튜디오 1, 2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본격적으로 건축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설계 입문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고 과정을 학습한다. 특히 건축공간의 공공성을 바탕으로 하는 공동주택과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 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nd 2, and is a course to learn architectural design in earnest. Based on what was learned in the introductory design course, students design actual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s and learn the process. In particular, this lecture is about apartment buildings and school facilities, which are based on the publicness of architectural spaces.

닫기
3/1학기 전선 3145018
고급BIM (Advanc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18
  • 교과목명 : 고급BIM (Advanc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고급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축설계과정에서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단계 등 건축물의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 걸쳐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방법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이와 더블어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통해 컴퓨터상에서 실제 건물과 같은 가상건물의 3D 모델을 작성해가며 설계를 진행해 가는 과정을 학습이다. 학생들은 1시간이론과 2시간 실습을 통하여 건축설계에 과정에 대한 고급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활용을 습득하게 된다. 기초 BIM과 고급 BIM은 순차적으로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English

      The Advanc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a course to learn how to use BIM to efficiently manage buildings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such as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age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roug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tudents learn the process of designing while creating 3D models of virtual buildings identical to real buildings on a computer. Through one hour for theory and two hours for practice, students will learn the utilization of Advanc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ents should complete Basic BIM and Advanced BIM in sequence in principle.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고급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축설계과정에서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단계 등 건축물의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 걸쳐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방법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이와 더블어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통해 컴퓨터상에서 실제 건물과 같은 가상건물의 3D 모델을 작성해가며 설계를 진행해 가는 과정을 학습이다. 학생들은 1시간이론과 2시간 실습을 통하여 건축설계에 과정에 대한 고급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활용을 습득하게 된다. 기초 BIM과 고급 BIM은 순차적으로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English

    The Advanc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a course to learn how to use BIM to efficiently manage buildings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such as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age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roug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tudents learn the process of designing while creating 3D models of virtual buildings identical to real buildings on a computer. Through one hour for theory and two hours for practice, students will learn the utilization of Advanc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ents should complete Basic BIM and Advanced BIM in sequence in principle.

닫기
3/1학기 전필 3145019
건축시공학 (Building Execu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19
  • 교과목명 : 건축시공학 (Building Execu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건축공사에 대하여 전반적인 지식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축공사 공종별로 특징과 핵심사항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건축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확보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learn the general knowledge of the various construction works condu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Students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key points of each construction project. This allows students to secure a foundation to actually perform their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건축공사에 대하여 전반적인 지식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축공사 공종별로 특징과 핵심사항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건축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확보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learn the general knowledge of the various construction works condu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Students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key points of each construction project. This allows students to secure a foundation to actually perform their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닫기
3/1학기 전필 3145020
철근콘크리트구조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20
  • 교과목명 : 철근콘크리트구조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철근콘크리트구조 과목에서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이론, 재료 특성, 보를 중심으로 한 부재 해석과 구조설계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re theory of reinforced concrete, material property, member analysis and design method such as girder and bea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철근콘크리트구조 과목에서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이론, 재료 특성, 보를 중심으로 한 부재 해석과 구조설계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re theory of reinforced concrete, material property, member analysis and design method such as girder and beam.

닫기
3/1학기 전선 3145021
부정정구조역학 (Statically Indeterminate Mechan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21
  • 교과목명 : 부정정구조역학 (Statically Indeterminate Mechan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부정정구조역학 과목에서는 부정정역학의 해석방법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 English

      "Statically Indeterminate Mechanics" purposes to study the analysis methods of the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부정정구조역학 과목에서는 부정정역학의 해석방법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 English

    "Statically Indeterminate Mechanics" purposes to study the analysis methods of the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s.

닫기
3/1학기 전선 3145022
탄소제로건축 (Building Decarboniz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22
  • 교과목명 : 탄소제로건축 (Building Decarboniz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를 대응하기 위한 노력으로 2050년까지 탄소제로를 목표로하는 국내외 정책을 이해하고 건물분야에 영향 및 대응방안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건축분야에서도 제로에너지 건물을 뛰어넘어 탄소제로 건축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제로에너지 건축 디자인을 위한 건물의 냉.난방부하 요소와 계산 방법을 파악하여 탄소제로 건축 설계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buildings decarbonization and investigate each country's policy of net-zero by 2050.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theoretical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to achive decarbonizing building beyond zero-energy building.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 students will calculate heating and cooling load of a build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를 대응하기 위한 노력으로 2050년까지 탄소제로를 목표로하는 국내외 정책을 이해하고 건물분야에 영향 및 대응방안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건축분야에서도 제로에너지 건물을 뛰어넘어 탄소제로 건축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제로에너지 건축 디자인을 위한 건물의 냉.난방부하 요소와 계산 방법을 파악하여 탄소제로 건축 설계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buildings decarbonization and investigate each country's policy of net-zero by 2050.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theoretical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to achive decarbonizing building beyond zero-energy building.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 students will calculate heating and cooling load of a building.

닫기
3/1학기 전선 3145023
기초공학설계2 (Basic Architectural Design 2)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23
  • 교과목명 : 기초공학설계2 (Basic Architectural Design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근생시설, 공공시설 및 문화시설 계획에 필요한 각종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대지조건과 상호 검토한 후 배치·평면·입면·단면계획에서부터 실시설계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을 습득하여 건축실무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planning of living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mutually reviewing the land conditions, and acquiring skills from layout, floor plan, elevation plan, and section design to final design, they can adapt to architectural practice.

    닫기
3 1 4 상세보기
  • 국문

    근생시설, 공공시설 및 문화시설 계획에 필요한 각종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대지조건과 상호 검토한 후 배치·평면·입면·단면계획에서부터 실시설계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을 습득하여 건축실무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planning of living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mutually reviewing the land conditions, and acquiring skills from layout, floor plan, elevation plan, and section design to final design, they can adapt to architectural practice.

닫기
3/1학기 전필 3145055
서양건축사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55
  • 교과목명 : 서양건축사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서양 역사시대의 건축전개과정을 고대에서부터 중세, 근세, 그리고 근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건축물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특히, 서양의 인식 관점을 체계적이고 광범위하게 학습하여 건축물에 대하여 건축의 태동 배경을 파악하고, 건축물의 구성 및 공간의 형태, 특징 등을 연관지여 학습함으로서 서양의 건축역사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되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allows students to learn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e in the historical period of the West focusing on historically meaningful structures built from ancient times and the Middle Ages to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n particular, students acquire the perspective of Western perception systematically and extensively and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beginning of architecture regarding buildings. Also, they learn the composition, forms of space, and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in association with that and can approach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the West systematically.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서양 역사시대의 건축전개과정을 고대에서부터 중세, 근세, 그리고 근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건축물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특히, 서양의 인식 관점을 체계적이고 광범위하게 학습하여 건축물에 대하여 건축의 태동 배경을 파악하고, 건축물의 구성 및 공간의 형태, 특징 등을 연관지여 학습함으로서 서양의 건축역사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되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allows students to learn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e in the historical period of the West focusing on historically meaningful structures built from ancient times and the Middle Ages to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n particular, students acquire the perspective of Western perception systematically and extensively and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beginning of architecture regarding buildings. Also, they learn the composition, forms of space, and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in association with that and can approach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the West systematically.

닫기
3/1학기 전선 3145060
디지털협업시스템 (Digital Collaboration System)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60
  • 교과목명 : 디지털협업시스템 (Digital Collaboration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최근의 건설산업의 협업은 디지털 기반의 협업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학습하고 이해하는 것은 건축학 전공 학생들의 필수 덕목으로 자리잡?다. 이에 따라, 기초적인 건설 ICT역량을 학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디지털 기반의 건설 협업과 업무 프로세스를 학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본 교과목에서는 건설 ICT Tool 및 Software를 기반으로 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또한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실습해봄으로써, 문제해결역량을 키울 수 있다.

    • English

      The recent collabor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based on a digital-based collaboration platform. So,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ese technologies has become an essential virtue for students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ourse. Accordingly, it is an important process to learn practical digital-based construction collaboration and work processes for students who have learned basic construction ICT capabilities before. in this curriculum, students can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by learning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based on the construction ICT tool and software and real practical project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최근의 건설산업의 협업은 디지털 기반의 협업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학습하고 이해하는 것은 건축학 전공 학생들의 필수 덕목으로 자리잡?다. 이에 따라, 기초적인 건설 ICT역량을 학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디지털 기반의 건설 협업과 업무 프로세스를 학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본 교과목에서는 건설 ICT Tool 및 Software를 기반으로 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또한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실습해봄으로써, 문제해결역량을 키울 수 있다.

  • English

    The recent collabor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based on a digital-based collaboration platform. So,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ese technologies has become an essential virtue for students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ourse. Accordingly, it is an important process to learn practical digital-based construction collaboration and work processes for students who have learned basic construction ICT capabilities before. in this curriculum, students can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by learning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based on the construction ICT tool and software and real practical projects.

닫기
3/2학기 전선 3140006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0006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3/2학기 전선 3145017
건축디자인방법론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17
  • 교과목명 : 건축디자인방법론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현대건축의 근본적인 사유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형태화 물상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인간의 삶을 표현하는 현대철학을 근간으로 하는 건축디자인의 요체에 접근하여 보다 심층적인 형태생성에 관한 수업을 하는 과정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의 삶을 건축적인 형태화 물상화 하며 이의 이론적 근거에 대하여 토론하는 교과목이다.건축디자인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깊은 철학적 사유의 탐구를 통해 익힌 건축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충분히 자신의 디자인을 수행함을 기대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reasons of modern architecture in building design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make architectural formalization based on this. In the course of approaching the essentials of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the modern philosophy that expresses human life, the course on the in-depth form creation is made. This is a course to discuss.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architectural design, we can expect to carry out his design in practice based on the architectural design thoughts learned through deep philosophical thinking.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현대건축의 근본적인 사유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형태화 물상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인간의 삶을 표현하는 현대철학을 근간으로 하는 건축디자인의 요체에 접근하여 보다 심층적인 형태생성에 관한 수업을 하는 과정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의 삶을 건축적인 형태화 물상화 하며 이의 이론적 근거에 대하여 토론하는 교과목이다.건축디자인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깊은 철학적 사유의 탐구를 통해 익힌 건축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충분히 자신의 디자인을 수행함을 기대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reasons of modern architecture in building design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make architectural formalization based on this. In the course of approaching the essentials of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the modern philosophy that expresses human life, the course on the in-depth form creation is made. This is a course to discuss.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architectural design, we can expect to carry out his design in practice based on the architectural design thoughts learned through deep philosophical thinking.

닫기
3/2학기 전필 3145024
건축설계스튜디오4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24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4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 2 건축설계스튜디오 1, 2, 3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건축설계에 대한 배경 지석을 바탕으로 리모델링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설계 입문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고 과정을 학습한다. 설계주제는 문화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 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2, 3, and is a course to learn remodeling design based on the background knowledge of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what was learned in the introductory design course, students design actual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s and learn the process. The design theme targets cultural facilities.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 2 건축설계스튜디오 1, 2, 3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건축설계에 대한 배경 지석을 바탕으로 리모델링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설계 입문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 공간 환경을 디자인하고 과정을 학습한다. 설계주제는 문화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 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2, 3, and is a course to learn remodeling design based on the background knowledge of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what was learned in the introductory design course, students design actual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s and learn the process. The design theme targets cultural facilities.

닫기
3/2학기 전필 3145025
도시계획및설계 (Urban Design and Plann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25
  • 교과목명 : 도시계획및설계 (Urban Design and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도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바탕으로 도시의 발전사와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분야의 발전과 관련 제도에 대한 학습과 더불어 건축과 도시의 상관관계를 통한 도시건축차원의 설계 역량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Along with the learning about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cities, the development of the fields of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and related systems, this subject aims at strengthening the design competency at the level of urban architecture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citie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도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바탕으로 도시의 발전사와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분야의 발전과 관련 제도에 대한 학습과 더불어 건축과 도시의 상관관계를 통한 도시건축차원의 설계 역량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Along with the learning about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cities, the development of the fields of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and related systems, this subject aims at strengthening the design competency at the level of urban architecture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cities.

닫기
3/2학기 전필 3145026
건축설비계획 (Environmental Control Desig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26
  • 교과목명 : 건축설비계획 (Environmental Control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인 건축설비는 건물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쾌적하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축물의 건축환경 유지와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건축설비에 대해 설계적, 기능적 관점에서 지식을 습득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systems in the building and to diagnose the building systems. Topics include HVAC systems, water supply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firefighting equipment.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control in the build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인 건축설비는 건물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쾌적하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축물의 건축환경 유지와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건축설비에 대해 설계적, 기능적 관점에서 지식을 습득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systems in the building and to diagnose the building systems. Topics include HVAC systems, water supply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firefighting equipment.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control in the building.

닫기
3/2학기 전필 3145027
건설관리1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1)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27
  • 교과목명 : 건설관리1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관리의 주요분야인 원가,공정관리방법에 대하여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건설관리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에 대한 관리역량을 배양한다. 팀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이 직접 원가 및 공정관리에 대하여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발표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English

      This lecture aims to acquire knowledge of cost and process management methods, which are major areas of construction management. Students develop management skills for the most important areas of construction management. The team project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about cost and process control, and encourages them to develop 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관리의 주요분야인 원가,공정관리방법에 대하여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건설관리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에 대한 관리역량을 배양한다. 팀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이 직접 원가 및 공정관리에 대하여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발표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English

    This lecture aims to acquire knowledge of cost and process management methods, which are major areas of construction management. Students develop management skills for the most important areas of construction management. The team project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about cost and process control, and encourages them to develop 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닫기
3/2학기 전선 3145028
구조시스템 (Structural System )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28
  • 교과목명 : 구조시스템 (Structural System )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구조물의 형성원리, 구조물에서 하중의 흐름, 효과적인 구조시스템의 선택 등에 대하여 학습하는데 교육적 목적을 둔다.

    • English

      "Structural System" purposes to study the formation principle of structural system, the load flow in structures, the selection of efficient system, and so 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구조물의 형성원리, 구조물에서 하중의 흐름, 효과적인 구조시스템의 선택 등에 대하여 학습하는데 교육적 목적을 둔다.

  • English

    "Structural System" purposes to study the formation principle of structural system, the load flow in structures, the selection of efficient system, and so on.

닫기
3/2학기 전선 3145029
적산및견적 (Cost Estimation of Build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29
  • 교과목명 : 적산및견적 (Cost Estimation of Build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도면과 시방서를 기준으로 본공사비를 구성하는 과목이다. 적산(물량산출)과 견적(공사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사별, 재료별 소요물량산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주어진 조건(도면 등)에 기반한 계산과 견적산출을 통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lass is to understand how to calculate the cost of construction based o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used in building construction. In this class, the concept of required quantity calculation by construction and material is establish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integration (volume output) and quotation (construction cost). It also aims to improve the ability to apply in practice through calculations and estimates based on given conditions (drawings, etc.).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도면과 시방서를 기준으로 본공사비를 구성하는 과목이다. 적산(물량산출)과 견적(공사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사별, 재료별 소요물량산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주어진 조건(도면 등)에 기반한 계산과 견적산출을 통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lass is to understand how to calculate the cost of construction based o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used in building construction. In this class, the concept of required quantity calculation by construction and material is establish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integration (volume output) and quotation (construction cost). It also aims to improve the ability to apply in practice through calculations and estimates based on given conditions (drawings, etc.).

닫기
3/2학기 전선 3145030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30
  • 교과목명 :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과목에서는 기둥, 슬래브, 전단벽, 기초 등에 대한 부재 해석과 구조설계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re member analysis and design method such as column, slab, shear wall and found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과목에서는 기둥, 슬래브, 전단벽, 기초 등에 대한 부재 해석과 구조설계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re member analysis and design method such as column, slab, shear wall and foundation.

닫기
3/2학기 전선 3145031
건설공법 (Construction Method)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31
  • 교과목명 : 건설공법 (Construction Method)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20종 이상의 건축공사별 주요 공법에 대한 역사, 계획, 관리에 대한 기본사항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최신의 건축 공법을 조사함으로서 현대의 건축공사에 적용되는 신공법에 대해 폭넓게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건축현장의 빠른 기술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acquire the basic points of history,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major construction methods of more than 20 kinds. By examining the latest construction methods, students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new construction methods applied to modern construction work. This allows students to effectively respond to rapid technological changes in the construction sit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20종 이상의 건축공사별 주요 공법에 대한 역사, 계획, 관리에 대한 기본사항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최신의 건축 공법을 조사함으로서 현대의 건축공사에 적용되는 신공법에 대해 폭넓게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건축현장의 빠른 기술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acquire the basic points of history,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major construction methods of more than 20 kinds. By examining the latest construction methods, students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new construction methods applied to modern construction work. This allows students to effectively respond to rapid technological changes in the construction site.

닫기
3/2학기 전필 3145062
근현대건축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62
  • 교과목명 : 근현대건축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1900년을 전후로 시작된 초기 모더니즘과 이에 기반한 근대건축을 시작으로 하여 20세기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는 현대건축까지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사회, 경제, 기술의 변화에 주목하여 근대건축에서 현대건축으로 전개되는 흐름을 파악한다. 사회, 정치, 경제, 문화의 영향에 따른 건축 변화의 전반적인 이해, 그리고 고찰에 통해 건축설계 디자인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기술적 특징, 경향, 표현 등에 대한 이해와 분석, 적용 가능한 학습을 수행한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a comprehensive study of early modernism that began around 1900 and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it, up to modern architecture throughout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changes in society, economy, and technology, we understand the trend from modern architecture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ough a general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architectural changes due to the influence of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we understand, analyze, and apply learning about soci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trends, and expressions required in architectural desig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1900년을 전후로 시작된 초기 모더니즘과 이에 기반한 근대건축을 시작으로 하여 20세기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는 현대건축까지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사회, 경제, 기술의 변화에 주목하여 근대건축에서 현대건축으로 전개되는 흐름을 파악한다. 사회, 정치, 경제, 문화의 영향에 따른 건축 변화의 전반적인 이해, 그리고 고찰에 통해 건축설계 디자인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기술적 특징, 경향, 표현 등에 대한 이해와 분석, 적용 가능한 학습을 수행한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a comprehensive study of early modernism that began around 1900 and modern architecture based on it, up to modern architecture throughout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changes in society, economy, and technology, we understand the trend from modern architecture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ough a general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architectural changes due to the influence of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we understand, analyze, and apply learning about soci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trends, and expressions required in architectural design.

닫기
4/1학기 전필 3145032
건축설계스튜디오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32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 2 건축설계스튜디오 1, 2, 3, 4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도시스케일의 이해 속에서 건축과 도시의 관계를 바탕으로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개별 건축단위에서 도시차원으로 시각을 넓히고, 종합적인 도시환경속에서 건축설계의 관계를 이해하며, 디자인을 학습한다. 설계주제는 강원도 18개 시군의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며, 이슈가 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계획한다.

    • English

      T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2 an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2, 3, 4, and is a course to learn desig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city in an understanding of the city scale. Students broaden their perspective from individual building units to urban dimension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designs in a comprehensive urban environment, and study design. The design theme targets the local communities in 18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do and areas that becomes issues are selected and planned.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1, 2 건축설계스튜디오 1, 2, 3, 4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도시스케일의 이해 속에서 건축과 도시의 관계를 바탕으로 설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개별 건축단위에서 도시차원으로 시각을 넓히고, 종합적인 도시환경속에서 건축설계의 관계를 이해하며, 디자인을 학습한다. 설계주제는 강원도 18개 시군의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며, 이슈가 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계획한다.

  • English

    This lectur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Basic Construction Studio 1,2 an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2, 3, 4, and is a course to learn desig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city in an understanding of the city scale. Students broaden their perspective from individual building units to urban dimension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designs in a comprehensive urban environment, and study design. The design theme targets the local communities in 18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do and areas that becomes issues are selected and planned.

닫기
4/1학기 전필 3145033
건축법규 (Building Code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33
  • 교과목명 : 건축법규 (Building Cod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법은 인간의 주거생활과 관련한 건축이라는 학문에서 지켜져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규범으로 주로 대지와 건축물과의 관계, 건축물의 용도, 규모, 형태 등에 관한 제반사항을 규정한 것이다. 건축 사법, 주차장법, 도시계획법, 건설업법 등의 내용 등이 포함된다. 또한, 건축법은 제정이후에도 급변하는 사회, 경제여건에 따라 이를 수용하여 개정을 거듭하고 있는 유기체적인 규범으로 이에 대한 단순한 암기보다는 올바른 이해를 요구하는 과목이다

    • English

      Building codes are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norms that must be observed in the study termed architecture related to human residential life, which mainly prescribed various matter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s and buildings, the uses, scales, and shapes of buildings, etc.,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Certified Architects Act, the Parking Lot Act, the Urban Planning Act, and the Construction Business Act. In addition, since the building codes are organic norms that are being repeatedly revised to accommodate the rapidly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even after enactment, this subject requires correct understanding rather than simple memorizatio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법은 인간의 주거생활과 관련한 건축이라는 학문에서 지켜져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규범으로 주로 대지와 건축물과의 관계, 건축물의 용도, 규모, 형태 등에 관한 제반사항을 규정한 것이다. 건축 사법, 주차장법, 도시계획법, 건설업법 등의 내용 등이 포함된다. 또한, 건축법은 제정이후에도 급변하는 사회, 경제여건에 따라 이를 수용하여 개정을 거듭하고 있는 유기체적인 규범으로 이에 대한 단순한 암기보다는 올바른 이해를 요구하는 과목이다

  • English

    Building codes are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norms that must be observed in the study termed architecture related to human residential life, which mainly prescribed various matter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s and buildings, the uses, scales, and shapes of buildings, etc.,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Certified Architects Act, the Parking Lot Act, the Urban Planning Act, and the Construction Business Act. In addition, since the building codes are organic norms that are being repeatedly revised to accommodate the rapidly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even after enactment, this subject requires correct understanding rather than simple memorization.

닫기
4/1학기 전필 3145034
단지계획 (Site Plann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34
  • 교과목명 : 단지계획 (Site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주거단지계획을 중심으로 단지계획의 전반적인 설계기법을 습득하고, Case Study를 통해 설계기법의 심층적 분석과 주거단지계획 특성을 이해하여, 궁극적으로, 단지계획에 있어서의 올바른 계획접근방법 및 설계기법, Detail의 습득 및 단지계획상의 차별성을 인지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합할 수 있는 합리적인 단지계획의 접근 및 해결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aims at students’ learning of the overall design techniques of complex planning centering on residential complex planning, in-depth analysis of design techniques through case studies, and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omplex planning so that students can ultimately learn correct planning approaches, design techniques, and details in complex planning, recognize differentiation in complex planning,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lecture is intend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approach and solve rational complex plans that can integrate the foregoing.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주거단지계획을 중심으로 단지계획의 전반적인 설계기법을 습득하고, Case Study를 통해 설계기법의 심층적 분석과 주거단지계획 특성을 이해하여, 궁극적으로, 단지계획에 있어서의 올바른 계획접근방법 및 설계기법, Detail의 습득 및 단지계획상의 차별성을 인지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합할 수 있는 합리적인 단지계획의 접근 및 해결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aims at students’ learning of the overall design techniques of complex planning centering on residential complex planning, in-depth analysis of design techniques through case studies, and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omplex planning so that students can ultimately learn correct planning approaches, design techniques, and details in complex planning, recognize differentiation in complex planning,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lecture is intend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approach and solve rational complex plans that can integrate the foregoing.

닫기
4/1학기 전선 3145035
건축공학설계1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1)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35
  • 교과목명 : 건축공학설계1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공학설계1 과목에서는 건축공학 설계능력을 배양하고자 건축공학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English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Ⅰ" purposes to perform the practical projec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 order to improve the capacity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공학설계1 과목에서는 건축공학 설계능력을 배양하고자 건축공학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English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Ⅰ" purposes to perform the practical projec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 order to improve the capacity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닫기
4/1학기 전선 3145037
강구조 (Steel Structur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37
  • 교과목명 : 강구조 (Steel Stru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강구조 과목에서는 강구조의 재료적 특징, 강구조의 구조설계이론, 강구조의 구조해석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Steel Structure" are material property of steel, design theory of steel structure, analysis method of steel structure, and so 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강구조 과목에서는 강구조의 재료적 특징, 강구조의 구조설계이론, 강구조의 구조해석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Steel Structure" are material property of steel, design theory of steel structure, analysis method of steel structure, and so on.

닫기
4/1학기 전선 3145039
건물성능인증 (Building Certification Assessment)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39
  • 교과목명 : 건물성능인증 (Building Certification Assess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물 평가시 디자인 관점과 정성적으로만 평가하였지만 최근에는 건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건물의 성능(친환경, 건강친화등)을 평가할 수 있는 국내외 다양한 인증제도들을 이해하고, 건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들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건축설계에 있어서 실무적인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평가 요소들과 설계도서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자 한다.

    • English

      Recently, many buildings were quantitatively certified for green building, healthy and intelligent building.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to explore alternative desig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green buildings. Also this class deals with buildings drawing for practical abilit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물 평가시 디자인 관점과 정성적으로만 평가하였지만 최근에는 건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건물의 성능(친환경, 건강친화등)을 평가할 수 있는 국내외 다양한 인증제도들을 이해하고, 건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들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건축설계에 있어서 실무적인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평가 요소들과 설계도서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자 한다.

  • English

    Recently, many buildings were quantitatively certified for green building, healthy and intelligent building.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to explore alternative desig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green buildings. Also this class deals with buildings drawing for practical ability.

닫기
4/1학기 전선 3145040
건축현장실습 (Architectural Internship)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40
  • 교과목명 : 건축현장실습 (Architectural Internship)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4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4주 이상 건축설계사무소, 건축시공현장 등 현장에서 건축실무에 필요한 건축허가 및 시공도면 등의 제반과정을 이해하고 작성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aims to develop practical skills to understand and prepare the overall processes necessary for architectural practice such as building permits and construction drawings in the field such as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and construction sites for at least four weeks during vacation.

    닫기
3 0 4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4주 이상 건축설계사무소, 건축시공현장 등 현장에서 건축실무에 필요한 건축허가 및 시공도면 등의 제반과정을 이해하고 작성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lecture aims to develop practical skills to understand and prepare the overall processes necessary for architectural practice such as building permits and construction drawings in the field such as architectural design offices and construction sites for at least four weeks during vacation.

닫기
4/1학기 전선 3145045
전산구조해석 (Computer Aided)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45
  • 교과목명 : 전산구조해석 (Computer Aided)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전산구조해석 과목에서는 컴퓨터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구조물과 구조부재의 해석/설계 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Computational Structure Analysis" purposes to study the analysis/design methods of structure system and members, using the general structure analysis progra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전산구조해석 과목에서는 컴퓨터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구조물과 구조부재의 해석/설계 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Computational Structure Analysis" purposes to study the analysis/design methods of structure system and members, using the general structure analysis program.

닫기
4/1학기 전선 3145046
건설관리2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2)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46
  • 교과목명 : 건설관리2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 프로젝트의 발주방식 및 부동산기획에 대하여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프로젝트 발주방식의 특징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부동산 기획 프로세스에 대한 지식을 획득한다. 이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 전생애주기에 대한 매니지먼트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acquire knowledge about the method of ordering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real estate planning. Students not on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roject ordering methods but also acquire knowledge of the real estate planning process. This will ensure management capabilities for the entire life cycle of construction projec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 프로젝트의 발주방식 및 부동산기획에 대하여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프로젝트 발주방식의 특징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부동산 기획 프로세스에 대한 지식을 획득한다. 이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 전생애주기에 대한 매니지먼트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acquire knowledge about the method of ordering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real estate planning. Students not on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roject ordering methods but also acquire knowledge of the real estate planning process. This will ensure management capabilities for the entire life cycle of construction projects.

닫기
4/1학기 전필 3145076
융합프로젝트1 (Integrated Engineering Project1)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76
  • 교과목명 : 융합프로젝트1 (Integrated Engineering Project1)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설은 “건축설계 및 계획”과 “다양한 공학지식” 간의 융합을 통해 완성되는 프로젝트입니다. 본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론적 공학지식을 설계프로그램에 융합하여 공학적 사고를 반영한 Target Value Design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융합 프로젝트 1에서는 시공 및 재료와 건설IT(BIM 등) 및 건설관리(CM) 분야의 활용 가능한 스킬 및 도구를 활용하여 본인이 수행하는 설계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합니다. 이를 통해, 설계안에 대한 사전 검증(설계오류 및 품질) 및 해석(시공, 공정, 수량, 재료 등)을 수행하는 기법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 English

      Construction has very unique characteristic that is completed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and "various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This course aims to enable students to “Target Value Design” by converging theoretical engineering knowledge into a their own design program. In this convergence project 1, students develop their designs program by applying engineering skills such as construction methods, materials, BIM and construction management(CM). Through them,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echniques to perform evaluation(design error and quality) and analysis(construction, process, quantity, materials, etc.) for design plans.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건설은 “건축설계 및 계획”과 “다양한 공학지식” 간의 융합을 통해 완성되는 프로젝트입니다. 본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론적 공학지식을 설계프로그램에 융합하여 공학적 사고를 반영한 Target Value Design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융합 프로젝트 1에서는 시공 및 재료와 건설IT(BIM 등) 및 건설관리(CM) 분야의 활용 가능한 스킬 및 도구를 활용하여 본인이 수행하는 설계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합니다. 이를 통해, 설계안에 대한 사전 검증(설계오류 및 품질) 및 해석(시공, 공정, 수량, 재료 등)을 수행하는 기법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 English

    Construction has very unique characteristic that is completed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and "various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This course aims to enable students to “Target Value Design” by converging theoretical engineering knowledge into a their own design program. In this convergence project 1, students develop their designs program by applying engineering skills such as construction methods, materials, BIM and construction management(CM). Through them,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echniques to perform evaluation(design error and quality) and analysis(construction, process, quantity, materials, etc.) for design plans.

닫기
4/2학기 전필 3145041
건축설계스튜디오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41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구체적인 건물로 설계하는 데에 필요한 환경시스템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적 문제를 다룸으로써 기술적, 미적인 면이 통합된 건축적 실체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건축물의 디테일디자인이 설계과정에 포함되며 에너지절약시스템, 외피디자인, 구조 및 설비시스템 등의 내용을 계획에 반영하여 건축설계의 완성도를 높인다. 주어진 상황 내에서 건축법규, 개발수요, 도시적 맥락(context), 행태 등 제한 조건을 이용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인명안전 및 방재의 원리를 바탕으로 건물 내외부에 적합한 방재시스템을 선정하여 설계에 적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 English

      Students deal with technical issues centered on the environmental system necessary to design a concrete building so that they can design architectural entities in which technical and aesthetic aspects integrated. To this end, detailed designs of buildings are included in the design process, and the contents of the energy saving systems, envelope designs, structures, and equipment systems are reflected on the plans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architectural designs. Students cultivate the ability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using limiting conditions such as the building code, demand for development, urban contexts, and behaviors within a given situ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human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students learn how to select disaster prevention system suitable for both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and apply it to design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구체적인 건물로 설계하는 데에 필요한 환경시스템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적 문제를 다룸으로써 기술적, 미적인 면이 통합된 건축적 실체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건축물의 디테일디자인이 설계과정에 포함되며 에너지절약시스템, 외피디자인, 구조 및 설비시스템 등의 내용을 계획에 반영하여 건축설계의 완성도를 높인다. 주어진 상황 내에서 건축법규, 개발수요, 도시적 맥락(context), 행태 등 제한 조건을 이용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인명안전 및 방재의 원리를 바탕으로 건물 내외부에 적합한 방재시스템을 선정하여 설계에 적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 English

    Students deal with technical issues centered on the environmental system necessary to design a concrete building so that they can design architectural entities in which technical and aesthetic aspects integrated. To this end, detailed designs of buildings are included in the design process, and the contents of the energy saving systems, envelope designs, structures, and equipment systems are reflected on the plans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architectural designs. Students cultivate the ability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using limiting conditions such as the building code, demand for development, urban contexts, and behaviors within a given situ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human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students learn how to select disaster prevention system suitable for both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and apply it to design

닫기
4/2학기 전선 3145043
건축포트폴리오 (Architectural Portfolio)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43
  • 교과목명 : 건축포트폴리오 (Architectural Portfolio)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스튜디오에서 작업한 자신의 작품들을 디지털매체의 기능들을 이용하여 포트폴리오형식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포트폴리오 제작을 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프로그램 사용법을 익히고 이를 이용하여 취업에 있어서 필수적인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고 특색 있는 방식으로 만드는 과정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포트폴리오 표현에 고민하고 작성기법을 익히는 과정을 통해 취업준비에 필수적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It is the process of making his works in the architecture studio into portfolio form using the functions of digital media. You will learn how to use basic programs in creating portfolios and how to use them to create portfolios that are essential to employment in a variety of unique ways. Students will be able to complete portfolios essential for job preparation by thinking about expressions and learning how to write.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스튜디오에서 작업한 자신의 작품들을 디지털매체의 기능들을 이용하여 포트폴리오형식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포트폴리오 제작을 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프로그램 사용법을 익히고 이를 이용하여 취업에 있어서 필수적인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고 특색 있는 방식으로 만드는 과정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포트폴리오 표현에 고민하고 작성기법을 익히는 과정을 통해 취업준비에 필수적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It is the process of making his works in the architecture studio into portfolio form using the functions of digital media. You will learn how to use basic programs in creating portfolios and how to use them to create portfolios that are essential to employment in a variety of unique ways. Students will be able to complete portfolios essential for job preparation by thinking about expressions and learning how to write.

닫기
4/2학기 전선 3145044
건축공학설계2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2)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44
  • 교과목명 : 건축공학설계2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공학설계1과 마찬가지로 건축공학 설계능력을 배양하고자 건축공학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English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Ⅱ" purposes to perform the practical projec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 order to improve the capacity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in the same as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Ⅰ.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공학설계1과 마찬가지로 건축공학 설계능력을 배양하고자 건축공학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English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Ⅱ" purposes to perform the practical projec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 order to improve the capacity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in the same as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Ⅰ.

닫기
4/2학기 전선 3145047
구조설계 (Design of Building Structur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47
  • 교과목명 : 구조설계 (Design of Building Stru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물 구조설계의 프로세스, 설계하중, 구조시스템과 부재의 해석방법, 구조시스템과 부재의 구조설계방법 등에 대하여 배운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Design of Building Structure" are process of building structure design, design load, analysis methods of system and members, design methods of system and members, and so 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물 구조설계의 프로세스, 설계하중, 구조시스템과 부재의 해석방법, 구조시스템과 부재의 구조설계방법 등에 대하여 배운다.

  • English

    Lecture contents of "Design of Building Structure" are process of building structure design, design load, analysis methods of system and members, design methods of system and members, and so on.

닫기
4/2학기 전선 3145048
건물성능시스템 (Building Performance System)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48
  • 교과목명 : 건물성능시스템 (Building Performance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이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건물분야는 제로에너지 건물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국내의 저에너지 건물, 제로에너지 건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요소와 원리등을 이해하여 에너지분석 프로그램 및 설계능력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최근 기존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 그린리모델링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efforts for reduction of GHGs and zero energy buildings. This class provides students skills of energy program to analysis energy efficient buildings and zero energy buildings and theorical knowledge building integrated system. This course is also to investigate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for promoting green remodel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이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건물분야는 제로에너지 건물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국내의 저에너지 건물, 제로에너지 건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요소와 원리등을 이해하여 에너지분석 프로그램 및 설계능력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최근 기존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 그린리모델링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efforts for reduction of GHGs and zero energy buildings. This class provides students skills of energy program to analysis energy efficient buildings and zero energy buildings and theorical knowledge building integrated system. This course is also to investigate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for promoting green remodeling.

닫기
4/2학기 전선 3145074
건축졸업작품연구 (Research for Architecture graduation project)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74
  • 교과목명 : 건축졸업작품연구 (Research for Architecture graduation project)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II, 건축설계스튜디오 1,2,3,4,5,6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졸업설계에 해당하는 건축설계7 교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4학년 2학기 계절학기에 개설되는 “건축졸업작품연구”과목을 선이수하여 ‘건축졸업작품연구’교과목에서 요구하는 ‘졸업주제연구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Construction Convergence Design II,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2,3,4,5,6. In order to take the Architectural Design 7 course corresponding to the graduation design, students must first complete the “Architectural Graduation Project Research” course offer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ourth year and submit the “Graduation Theme Research Report” required by the “Architectural Graduation Project Research” course.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융합설계 II, 건축설계스튜디오 1,2,3,4,5,6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졸업설계에 해당하는 건축설계7 교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4학년 2학기 계절학기에 개설되는 “건축졸업작품연구”과목을 선이수하여 ‘건축졸업작품연구’교과목에서 요구하는 ‘졸업주제연구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Construction Convergence Design II,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2,3,4,5,6. In order to take the Architectural Design 7 course corresponding to the graduation design, students must first complete the “Architectural Graduation Project Research” course offer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ourth year and submit the “Graduation Theme Research Report” required by the “Architectural Graduation Project Research” course.

닫기
4/2학기 전선 3145075
글로벌프로젝트 (Global Construction Project)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145075
  • 교과목명 : 글로벌프로젝트 (Global Construction Project)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설산업은 건축,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를 총 망라하는 산업군이다. 특히, 최근 국내의 건설경기의 침체, 국내 시장의 글로벌 스탠다드와의 격차 증가, 해외 신기술 신공법 도입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해,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시장 경쟁력 역시 하락하고 있다. 이에 본 강의는 해외건설을 포함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건설 관련 계약, 발주, 엔지니어링 등의 전반적 사항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해외건설의 주된 유형과 상품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건축 및 플랜트 산업군의 비교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계약 및 조달방식을 이해한다.

    • English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 industry group that encompasses various fields such as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and plant. In particular,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overseas market is also declining due to problems such as the recent downturn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economy, the increase in the gap with global standards in the domestic market, and the decrease in global competitiveness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overseas technology methods. Therefore, this lecture learns about overall matters such as construction-related contracts, orders, and engineering in the global market including overseas construction.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main types and products of overseas construction, and understands project contracts and procurement method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and plant industrie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건설산업은 건축,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를 총 망라하는 산업군이다. 특히, 최근 국내의 건설경기의 침체, 국내 시장의 글로벌 스탠다드와의 격차 증가, 해외 신기술 신공법 도입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해,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시장 경쟁력 역시 하락하고 있다. 이에 본 강의는 해외건설을 포함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건설 관련 계약, 발주, 엔지니어링 등의 전반적 사항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해외건설의 주된 유형과 상품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건축 및 플랜트 산업군의 비교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계약 및 조달방식을 이해한다.

  • English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 industry group that encompasses various fields such as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and plant. In particular,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overseas market is also declining due to problems such as the recent downturn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economy, the increase in the gap with global standards in the domestic market, and the decrease in global competitiveness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overseas technology methods. Therefore, this lecture learns about overall matters such as construction-related contracts, orders, and engineering in the global market including overseas construction.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main types and products of overseas construction, and understands project contracts and procurement method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and plant industries.

닫기
4/2학기 전필 3145077
융합프로젝트2 (Integrated Engineering Project2)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77
  • 교과목명 : 융합프로젝트2 (Integrated Engineering Project2)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설은 “건축설계 및 계획”과 “다양한 공학지식” 간의 융합을 통해 완성되는 프로젝트입니다. 본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론적 공학지식을 설계프로그램에 융합하여 공학적 사고를 반영한 Target Value Design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융합프로젝트 1에 이어 진행하는 본 융합 프로젝트 2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 및 구조 분야의 활용 가능한 스킬 및 도구를 활용하여 본인이 수행하는 설계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합니다. 이를 통해, 설계안에 대한 해석(친환경 성능, 에너지 성능, 구조해석 등)을 수행하는 기법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 English

      Construction has very unique characteristic that is completed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and "various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This course aims to enable students to “Target Value Design” by converging theoretical engineering knowledge into a their own design program. In this convergence project 2, students develop their designs program by applying engineering skills such as sustainable building, energy and structure. Through them,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echniques to perform evaluation(sustainability and energy performance) and structural analysis for design plans.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건설은 “건축설계 및 계획”과 “다양한 공학지식” 간의 융합을 통해 완성되는 프로젝트입니다. 본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론적 공학지식을 설계프로그램에 융합하여 공학적 사고를 반영한 Target Value Design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융합프로젝트 1에 이어 진행하는 본 융합 프로젝트 2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 및 구조 분야의 활용 가능한 스킬 및 도구를 활용하여 본인이 수행하는 설계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합니다. 이를 통해, 설계안에 대한 해석(친환경 성능, 에너지 성능, 구조해석 등)을 수행하는 기법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 English

    Construction has very unique characteristic that is completed through the convergence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and "various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This course aims to enable students to “Target Value Design” by converging theoretical engineering knowledge into a their own design program. In this convergence project 2, students develop their designs program by applying engineering skills such as sustainable building, energy and structure. Through them,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echniques to perform evaluation(sustainability and energy performance) and structural analysis for design plans.

닫기
5/1학기 전필 3145036
건설경영 (Construction Management)
  • 학년/학기 : 5/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36
  • 교과목명 : 건설경영 (Construction Manage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산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하여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건설시장, 하자, 사업 포트폴리오, 클레임 등 다양한 건설산업 이슈에 대하여 폭넓게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foster knowledge on the various issues that aris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tudents have a strong understanding of various construction industry issues such as construction market, defects, business portfolio, and claims. This allows students to effectively respond to various changes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는 건설산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하여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건설시장, 하자, 사업 포트폴리오, 클레임 등 다양한 건설산업 이슈에 대하여 폭넓게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foster knowledge on the various issues that aris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tudents have a strong understanding of various construction industry issues such as construction market, defects, business portfolio, and claims. This allows students to effectively respond to various changes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닫기
5/1학기 전필 3145049
건축설계스튜디오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 학년/학기 : 5/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49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학부 설계 수업을 종합하여 실무에 대비하는 과정으로서, 건축과 도시의 맥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 프로세스의 모든 요소를 통합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학생들은 각자가 원하는 주제를 설정하여 진행하며 기본적인 리서치를 배경으로 이를 실제적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서 진보된 개념적 프로그램과 기술적 조건의 수준에서 건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진행한 결과물은 졸업 전시에 전시되며, 이는 건축학 전공 학생들의 졸업을 위한 평가대상이 된다.

    • English

      This subject is a course to put undergraduate design classes together to be prepared for practical business and students cultivate the ability to integratively design all elements of the design process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and urban context. Students set their own desired themes to proceed with design and apply the themes to design with the background of basic research thereby developing the ability to solve architectural problems at the level of advanced conceptual programs and technical conditions. The outcomes produced by students in this process are exhibited in the graduation exhibition and are evaluated for the graduation of the students majoring in architecture.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학부 설계 수업을 종합하여 실무에 대비하는 과정으로서, 건축과 도시의 맥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 프로세스의 모든 요소를 통합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학생들은 각자가 원하는 주제를 설정하여 진행하며 기본적인 리서치를 배경으로 이를 실제적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서 진보된 개념적 프로그램과 기술적 조건의 수준에서 건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진행한 결과물은 졸업 전시에 전시되며, 이는 건축학 전공 학생들의 졸업을 위한 평가대상이 된다.

  • English

    This subject is a course to put undergraduate design classes together to be prepared for practical business and students cultivate the ability to integratively design all elements of the design process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and urban context. Students set their own desired themes to proceed with design and apply the themes to design with the background of basic research thereby developing the ability to solve architectural problems at the level of advanced conceptual programs and technical conditions. The outcomes produced by students in this process are exhibited in the graduation exhibition and are evaluated for the graduation of the students majoring in architecture.

닫기
5/1학기 전필 3145050
건축실무 (Professional practice)
  • 학년/학기 : 5/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50
  • 교과목명 : 건축실무 (Professional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건축실무에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으로서 학생들이 건축 실무를 수행할시 알아야 하는 포괄적인 기준을 습득함으로 전문 건축인으로서의 건축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과목이다. 건축실무에서 요구되는 사무실 조직 및 사업계획, 마케팅 등의 기본지식으로부터 건물의 재정, 경제성, 디자인과 비용의 문제에 대한 인식 그리고 행정적으로 필요한 기획 설계부터 실시설계 그리고 감리에 이르기까지의 건축가의 다양한 범위의 책임과 의무에 관하여 논한다.

    • English

      This class is a subject for students to acquires knowledge of various methods applied to architectural practice, which enables students to cultivate ability to carry out architectural practice by learning comprehensive standards that students need to know when they perform architectural practice. Diverse ranges of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architects are discussed ranging from the basic knowledge of office organization, business planning, and marketing required in architectural practice, to the perception of the issues of finance, economic feasibility, design and costs of buildings, and administratively necessary planning and design, working design, and supervisio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건축실무에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으로서 학생들이 건축 실무를 수행할시 알아야 하는 포괄적인 기준을 습득함으로 전문 건축인으로서의 건축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과목이다. 건축실무에서 요구되는 사무실 조직 및 사업계획, 마케팅 등의 기본지식으로부터 건물의 재정, 경제성, 디자인과 비용의 문제에 대한 인식 그리고 행정적으로 필요한 기획 설계부터 실시설계 그리고 감리에 이르기까지의 건축가의 다양한 범위의 책임과 의무에 관하여 논한다.

  • English

    This class is a subject for students to acquires knowledge of various methods applied to architectural practice, which enables students to cultivate ability to carry out architectural practice by learning comprehensive standards that students need to know when they perform architectural practice. Diverse ranges of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architects are discussed ranging from the basic knowledge of office organization, business planning, and marketing required in architectural practice, to the perception of the issues of finance, economic feasibility, design and costs of buildings, and administratively necessary planning and design, working design, and supervision.

닫기
5/2학기 전필 3145052
건축설계스튜디오8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 학년/학기 : 5/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52
  • 교과목명 : 건축설계스튜디오8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 학점-강의-실습(설계) : 6-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졸업 후 실무에 대비하는 과정으로 졸업작품을 바탕으로 실무도면을 작성하며, 자신의 포트폴리오 및 홈페이지 제작 등을 수행한다. 특히 포트폴리오에서는 지금까지 작업한 설계 내용을 단계별로 기술요소별로 통합한 종합설계를 작성한다. 또한 설계 내용을 바탕으로 설계형 연구 작업을 수행한다.

    • English

      This is a course to be prepared for practical business after graduation and students prepare practical drawings based on their graduation work and create their own portfolio and website. In particular, in the portfolio, a comprehensive design is created by integrating the design contents that have been worked thus far by stage and by technology element. In addition, design-type research work is performed based on the design contents.

    닫기
6 4 0 (8) 상세보기
  • 국문

    졸업 후 실무에 대비하는 과정으로 졸업작품을 바탕으로 실무도면을 작성하며, 자신의 포트폴리오 및 홈페이지 제작 등을 수행한다. 특히 포트폴리오에서는 지금까지 작업한 설계 내용을 단계별로 기술요소별로 통합한 종합설계를 작성한다. 또한 설계 내용을 바탕으로 설계형 연구 작업을 수행한다.

  • English

    This is a course to be prepared for practical business after graduation and students prepare practical drawings based on their graduation work and create their own portfolio and website. In particular, in the portfolio, a comprehensive design is created by integrating the design contents that have been worked thus far by stage and by technology element. In addition, design-type research work is performed based on the design contents.

닫기
5/2학기 전필 3145061
건축과도시재생 (Architecture and Urban Regeneration)
  • 학년/학기 : 5/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145061
  • 교과목명 : 건축과도시재생 (Architecture and Urban Regener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도시건축의 포괄적 차원에서 학생들이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해와 함께 세분화하는 분야로 진출함에 있어 역량과 소양을 갖추게 하는 학습을 수행한다. 도시재생, 문화, 사회적 경제 조직 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건축가로서의 역할과 관계 등에 대해 학습하도록 한다. 특히 본 교과목은 건축학전공의 방향성에 맞추어 세부적인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전문성을 갖춘 분들이 순환하여 강의를 수행한다.

    • English

      This class provides a general understanding of social systems to students on a comprehensive level of urban architecture and conducts learning to equip them with the competence and literacy needed to advance into the subdivisions of the field. It allows student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urban regeneration, culture, and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o learn about their roles and relationships as architects. In particular, this course organizes a detailed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architecture department, and lectures are conducted by those with practical expertise based on a high understanding of local communitie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도시건축의 포괄적 차원에서 학생들이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해와 함께 세분화하는 분야로 진출함에 있어 역량과 소양을 갖추게 하는 학습을 수행한다. 도시재생, 문화, 사회적 경제 조직 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건축가로서의 역할과 관계 등에 대해 학습하도록 한다. 특히 본 교과목은 건축학전공의 방향성에 맞추어 세부적인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전문성을 갖춘 분들이 순환하여 강의를 수행한다.

  • English

    This class provides a general understanding of social systems to students on a comprehensive level of urban architecture and conducts learning to equip them with the competence and literacy needed to advance into the subdivisions of the field. It allows student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urban regeneration, culture, and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o learn about their roles and relationships as architects. In particular, this course organizes a detailed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architecture department, and lectures are conducted by those with practical expertise based on a high understanding of local communitie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